리뷰 네비게이션

인간의 지각 및 인지 능력에 대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이해

본문내용

교과목해설

  • 심리학과
  • 영유아발달치료융합전공
  • 심리학의이해 ( Understanding of Psychology)
    심리학 전공자를 위한 심리학 소개 강의이다. “심리학의이해”에서는 인간 행동의 신경생리학적 기초, 감각 및 지각, 학습, 기억, 인지, 발달, 동기 등을 다룬다.

  • 심리학개론 ( Introductory Psychology)
    심리학 전공자를 위한 심리학 소개 강의이다. “심리학의이해”에서 소개하지 않았던 성격, 심리검사, 사회적행동, 이상행동 등을 다룬다.

  • 성격심리학 ( Personality Psychology)
    성격발달과 변화에 대한 기본이론들에 대한 강의이다. 성격에 관한 주요 이론을 중심으로 각 이론의 주요개념, 개인차의 측정방법, 성격발달과 변화의 과정 및 책략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한다.

  • 발달심리학 ( Developmental Psychology )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생의 전 과정에 걸쳐서 일어나는 연령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발달심리학에서는 발달연구의 기본문제, 인간발달을 좌우하는 요인들, 산체발달, 감각발달, 지각발달, 인지발달, 정서발달, 성격발달, 사회성발달, 도덕성발달 등을 다룬다.

  • 사회심리학 ( Social Psychology )
    사회구조와 개인의 심리적 특성간의 관계 특히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기본 개념과 주요연구 성과를 소개하는 기초과목이다. 사회심리이론, 사회적성격, 태도, 사회적 상호작용, 소집단 등의 주제가 포함된다.

  • 인간관계론 ( Psychology of Human Relationships )
    개인의 심리적 요인인 대인동기, 대인신념, 대인기술 그리고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 요인인 대인지각 및 대인사고, 대인감정 및 대인행동 등을 고찰함으로써 인간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더불어 인간관계에 부적응을 초래하는 요인들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 이상심리학 ( Abnormal Psychology )
    여러 가지 이상행동 및 심리장애에 대한 기술, 분류, 원이느 치료 등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정신병리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심리통계데이터분석 ( Psychological Statistics Data Analysis )
    심리학 연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하고 이를 위해 통계분석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제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을 실습한다.

  • 학습심리학 ( Learning Psychology )
    학습심리학은 인간과 동물의 학습과 기억을 다룬다. 행동주의적 접근과 인지적 접근으로 크게 나누어지는 이 분야는 조건형성과 관련된 강화와 소거, 회피학습과 벌 등에 관한 연구, 개념학습과 언어학습에 관한 연구, 망각에 관한 연구, 기억의 구조와 과정에 관한 연구 등을 포함한다.

  • 상담이론과 실제 (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ling )
    상담의 주요 이론들과 상담기법들에 대해 학습하고, 아울러 상담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 자질과 윤리적 지침, 실습 등을 다룬다.

  • 노인심리학( Psychology of Aging )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측면의 변화가 현저해지는 노인기의 신체적, 사회적, 직업적 및 가정에서의 반응과 발달과업에 대해 학습한다.

  • 문화심리학 ( Cultural Psychology )
    본 교과목에서는 성격, 인지, 정서, 사회, 정신건강 등 인간의 정신 과정과 행동에 문화적 특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련 이론들과 최근 연구들을 고찰하고, 한국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문화심리학의 역할과 응용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 심리통계학 ( Psychological Statistics )
    심리학 연구와 관련된 통계학적 기본 개념과 기술통계학 및 추론통계학의 여러 통계적 자료 분석방법들을 학습한다.

  • 심리학강독 ( Readings in Psychology )
    전공으로서의 심리학에 입문하는데 있어서 외국 저명인사들의 원전을 직접 접하는 것을 극히 필요한 과정이다. 심리학을 외국어로 생각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원전을 충분히 이해하는 능력을 갖추는데 목적이 있다.

  • 임상심리학 ( Clinical Psychology )
    인간의 삶의 문제를 이해하고 돕는 심리학의 전문분야로서 이상행동과 심리장애에 대한 평가와 진단, 치료, 자문, 연구 등 임상심리학자의 주요 임무와 활동에 대해 소개한다. 더불어 임상심리학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교육 및 수련과정, 윤리기준 등에 대해서도 다룬다.

  • 집단상담 ( Group Counselling )
    집단상담의 다양한 이론과 집단상담 과정에 대한 지식을 익힌다. 집단상담 이론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집단상담의 과정을 실제로 경험하고 논의한다.

  • 학교심리학 ( School Psychology )
    학교현장에서의 문제해결에 필요한 심리평가, 심리학적 개입 및 심리자문 등에 대해 학습하고, 학교의 심리학 서비스 제공에 대해 다룬다.

  • 동기및정서 ( Motivation and Emotion )
    행동의 유발, 지속 및 방향에 관계되는 생리적, 심리적 및 사회적 요인들의 탐구를 통해 인간행동의 원인을 이해한다. 인간의 정서에 관한 정보가 처리되는 원리와 정서와 관련된 심상정보가 뇌에 저장되고 표상되는 원리를 소개한다.

  • 생물심리학 ( Biological Psychology )
    인간의 행동과 심리적 현상을 뇌, 신경세포, 내분비선 등의 활동을 기초로 하여 인간을 이해한다. 나아가 외부 세계에 대한 지각, 동작, 욕구, 욕망 학습 등의 기저에 깔려있는 생리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우며 심리학에 대한 다른 접근 방법과 생리학적 접근 방법을 비교하여 인간에 대한 전체적인 심리적 체계를 살핀다.

  • 심리검사 ( Psychological Testing )
    여러 상황에서 개인의 반응의 차를 측정하는 것으로 지능, 적성, 성격 등의 검사에 대한 제반이론을 익히고 이에 따른 실습을 통해 심리검사 전반에 대한 것을 습득한다. 심리학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측정 척도의 제작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올바른 척도의 사용능력을 배양시킴이 목적이다. 교과 내용을 척도의 평가, 기존척도의 종류 및 용도, 내용분석의 방법 등으로 구성되며, 수업은 강의와 실습(과제수행)으로 운영된다.

  • 인지심리학 ( Cognitive Psychology )
    인지심리학은 인간 지능의 구조와 작용과정, 즉 인간의 정보처리에 관한 과학이다. 이 분야는 지각과 주의, 지식표상, 기억의 구조와 과정, 문제해결, 추리 더 나아가 언어의 이해와 생성, 인지발달 등의 세부 분야로 나누어진다.

  • 긍정심리학 ( Positive Psychology )
    행복에 관한 과학적 연구방법과 주요한 연구결과를 학습하고 행복의 주요한 원천을 이해한다. 또한 행복감을 경험하는 인간의 인지, 행동, 정서를 이해하고 행복감 증진을 위한 전략을 학습한다.

  • 빅데이터조사방법론 ( psychotherapy, digital transformation and photography )
    조사방법에 대한 이론적인 학습과 설문지 작성, 자료수집, 통계분석 및 보고서 작성 등을 통해 자료분석의 전 과정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 법과인간행동 ( Law and Human Behavior )
    본 교과목에서는 수사, 재판, 교정 등 형사사법체계 전반에 걸쳐 적용되고 있는 심리학적 이론들과 최근 연구들을 고찰하고, 형사사법체계에서 심리학의 역할과 응용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 심리연구법 ( Psychological Methodology )
    연구방법론의 논리, 주요개념, 관련 내용을 익히고 실제 연구 문제에 적용해 봄으로써 연구 수행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 심리치료 ( Psychotherapy )
    심리치료의 여러 가지 접근 방법들에 관해 이론적 기초와 실험적 자료들을 고찰하고 심리치료의 다양한 기법과 가능성을 모색한다. 각종 접근들에 대해서 깊이 있고 세부적인 내용이 다루어지게 되며 이에 대한 활용이 다루어지게 된다.

  • 범죄심리학 ( criminal psychology )
    본 교과목에서는 범죄행위와 관련한 기질적/환경적 특성, 사고 과정, 행동 특성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들과 최근 연구들을 고찰하고, 사법체계에서 심리학 학문의 응용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 가상현실심리상담(캡스톤디자인) ( Opening Restaurant Business )
    기존 심리상담 전략을 메타버스 속 가상현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활용 능력 향상과 가상현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기획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 심리학세미나 ( Seminars on Psychology )
    다양한 심리학 전공교과목을 이수한 후 기본적인 심리학 지식을 바탕으로, 특정 주제를 심도있게 다룬 학술논문들을 읽고 토론하고 비판하는 과정을 통해 심리학 논문 작성에 대한 간접 경험의 기회를 가지고 더불어 연구 능력도 신장시키고자 한다.

  • 진로상담 ( Career Counselling )
    인간에게 직업을 선택하여 수행하는 것은 중요한 인생과제 중의 하나이다. 이 강좌는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능력 및 다양한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명한 직업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진로인식, 진로탐색, 진로결정에 이르는 전반적 과정을 다루는 것에 목적을 둔다.

  • 심리치료와디지털트렌스포메이션그리고사진(캡스톤디자인) ( Virtual reality psychological counseling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서 디지털 이미지와 영상이 심리치료와 어떤 접점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 탐색하는 과목

  • 산업및조직심리학 ( Virtual reality Psychological Counseling )
    산업 및 조직심리학은 일터에서의 인간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그 결과를 현장에 적용하는 학문이다. 이 학문에서는 종업원의 선발과 배치, 교육과 개발, 직무수행관리, 조직 효과성, 작업생활의 질 등을 다룬다.

  • 유아교육론(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의 기초가 되는 철학 및 심리학적 이론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내용을 기초로 하며 유아교육 기관의 종류의 기능, 열린교육, 정보화, 세계화, 다문화, 새터민 등의 사회변화 추세에 대비한 유아교육개혁의 과제, 수준별 교육방법 등을 본 과목에서 다루며 강의뿐 아니라 현장관찰과 토의 등을 교과내용에 포함한다.

  • 심리학의 이해(Understanding of Psychology)
    심리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 강의로 “심리학의이해”에서는 인간 행동의 신경생리학적 기초, 감각 및 지각, 학습, 기억, 인지, 발달, 동기 등을 다룬다.

  • 영유아발달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영유아의 신체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발달 특성에 관한 지식과 이론을 습득하고 최근의 연구 동향을 고찰함으로써 영유아보육현장에서 영유아 행동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높인다.

  • 아동권리와복지 (Children`s Rights and Welfare)
    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돕기 위하여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 즉, 모자보건, 입양 및 위탁, 빈곤아동, 미혼모 보호, 소년노동보호, 취약가족 아동지원 등의 사업을 이해하고 추진하는 지식 및 능력을 학습하고 아동복지서비스와 시설의 이해를 통해 아동복지 문제를 개선할 방법을 연구한다.

  • 심리학개론(Introductory Psychology)
    심리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 강의로 “심리학의이해”에서 소개하지 않았던 성격, 심리검사, 사회적행동, 이상행동 등을 다룬다.

  • 유아특수교육개론(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장애유아에 대한 정의 및 특성, 일반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과의 관계, 유아특수교육의 발달 및 연구 동향관찰, 장애영역별 특성, 교육과정, 교육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공부한다. 또한 장애유아들의 교육권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연구된 해외의 실제사례들을 수업내용에 포함하고자 한다.

  • 특수교육대상유아진단및평가(Assessment and Evaluation for Early Childhood with Disabilities)
    장애영유아의 조기선별 및 진단을 위한 다양한 검사도구의 특성과 기본적인 사용방법을 중심으로 현재 유아특수교육현장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검사도구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학습한다. 또한, 집중 학습한 검사를 직접실시해 보고 수집된 자료에 대한 결과를 해석 및 분석하는 능력을 키워 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선별 및 진단검사 중 Denver II test, Baily test, K-ABC, WIPPSI 등과 같은 발달 및 인지검사도구를 장애유아관련기관에서 직접 실시해 본다.

  • 발달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생의 전 과정에 걸쳐서 일어나는 연령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발달심리학에서는 발달연구의 기본문제, 인간발달을 좌우하는 요인들, 산체발달, 감각발달, 지각발달, 인지발달, 정서발달, 성격발달, 사회성발달, 도덕성발달 등을 다룬다.

  • 가족복지론 (Family Welfare)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현대 복지의 개념을 도입하여 가족의 기초개념 및 이를 운용 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식 습득을 위하여 변화하는 가족생활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복지의 개념을 개개인으로서가 아닌 가족체계 전체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 안목과 통찰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발달지연영유아선별및지원(Screen and Diagnosis Test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s)
    국내외 관련 시스템을 이해하고, 관련 검사도구 활용방법을 습득하여 영유아에 대한 병원임상용 선별 및 진단시스템, 교육현장형 선별·진단·평가시스템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이해하고 해당 검사도구들의 직접적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하고 임상현장에서의 사례분석 및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 아동관찰및행동연구 (Child Observation and Behavioral Research)
    아동의 행태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구방법의 기본원리와 개념을 배우고, 아동 행동의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며, 이를 토대로 아동의 발달과 행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가족이해및평가( Understanding and Assessment of Family)
    영유아발달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1차 사회적 환경인 가족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고, 현대사회에서 급격하게 변화하는 가족의 변화와 이에 따른 가족문제를 살펴보고, 이에 대응한 여러 대책을 이론적, 실제적 측면에서 모색해 보도록 한다. 또한 가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사회환경취약 영유아와 그 가족들에게 적합한 개입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 발달지연영유아사례개념화및지원(Support and developmental delay Early Childhood Case Conceptualization)
    유관기관에서 다루는 실제사례를 바탕으로 발달지연 영유아에 대한 사례개념화와 그에 따른 지원 전략 수립을 실습한다. 수업방식은 액션러닝 기법으로 운영하여 교과목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 장애아심리운동1(Motor-psychology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1)
    심리운동의 기본개념을 소개하며, 심리운동발달과정과 심리운동을 구성하는 다양한 이론적 모델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위해 심리운동의 발전과 경향, 이론적 모델, 핵심개념, 심리운동에 있어서의 놀이가 갖는 의미, 심리운동에서의 발달진단, 심리운동의 조건과 대상 및 활동범위 그리고 실제 현장사례들을 학습한다. 또한, 심리운동을 통해 장애영유아의 전반적 발달을 촉구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제들을 분석하고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영유아발달통합지원(Intergrated Support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n Vulnerable Class)
    영유아발달을 통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인지·언어발달, 행동주의, 심리운동 접근 등 다양한 중재방법 이론을 습득하고, 실제 현장에서 적용가능하도록 실습을 포함하여 영유아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

  • 영유아 집단치료 실습( Early Childhood Group Therapy Practice )
    영유아 집단치료의 기획, 운영, 대처전략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실무역량을 강화한다. 기존 치료계획을 개선 및 응용하는 상황대처 능력을 강화한다.

  • 장애아심리운동2(Motor-psychology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2)
    심리운동의 기본개념을 소개하며, 심리운동발달과정과 심리운동을 구성하는 다양한 이론적 모델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위해 심리운동의 발전과 경향, 이론적 모델, 핵심개념, 심리운동에 있어서의 놀이가 갖는 의미, 심리운동 에서의 발달진단, 심리운동의 조건과 대상 및 활동범위 그리고 실제 현장사례들을 학습한다. 또한, 심리운동을 통해 장애영유아의 전반적 발달을 촉구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제들을 분석하고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심리검사(Psychological Testing)
    여러 상황에서 개인의 반응의 차를 측정하는 것으로 지능, 적성, 성격 등의 검사에 대한 제반이론을 익히고 이에 따른 실습을 통해 심리검사 전반에 대한 것을 습득한다. 심리학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측정 척도의 제작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올바른 척도의 사용능력을 배양시킴이 목적이다. 교과 내용을 척도의 평가, 기존척도의 종류 및 용도, 내용분석의 방법 등으로 구성되며, 수업은 강의와 실습(과제수행)으로 운영된다.

  • 영유아중재방법의적용과실제 (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tervention For Early Childhood in Vulnerable Class)
    영유아관련 중재방법과 가족통합지원방법에 대해 현장전문가들를 활용하여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계획, 적용, 결과보고를 실시하여 중재방법에 대한 이해 및 활용능력을 함양함에 초점을 둔다.

  • 심리치료(Psychotherapy)
    심리치료의 여러 가지 접근 방법들에 관해 이론적 기초와 실험적 자료들을 고찰하고 심리치료의 다양한 기법과 가능성을 모색한다. 각종 접근들에 대해서 깊이 있고 세부적인 내용이 다루어지게 되며 이에 대한 활용이 다루어지게 된다.

  • 가족치료 (Family Therapy)
    아동이 성장하는 1차적 환경인 가족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가족체계적인 관점에서 가족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예측하고, 역기능적인 가족관계 파악하여 문제해결을 지원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위해 가족치료의 기본적 입장, 가족치료의 이론적 모델 및 기법을 소개하고, 학습한 내용을 내 가족에게 적용해 보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 위험사회와가족 (Risk Society and the Families)
    “위험사회와 가족”을 주제로 사회·경제· 문화적 관점에서 환경적 맥락속의 사회환경 취약 영유아 및 가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사회환경 취약가정을 위한 복지지원정책 내용으로 구성하여 환경적 맥락 속의 사회환경 취약 영유아 및 가족이해를 위해 학년별 환경적 맥락과 영유아 이해, 빈곤과 가족, 영유아 관찰과 기록에 대한 이론 및 실습, 현장학습, 관련전문가 초청강의를 포함한 수요자 중심 특성화 교육과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 영유아보육프로그램개발과평가 (Infa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영유아들의 교육과 보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과 각종 영유아 프로그램개발 시 고려사항, 그리고 최근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유아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영유아 교육과 보육 현장 전문가에게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적용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

  • 장애유아건강교육(Health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with Special Needs)
    유아의 신체적 발달과 연결된 보건 및 위생학에 관한 이론을 기반으로 유아기의 일반 및 특수한 요구를 가진 유아의 건강, 영양, 안전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을 학습하고, 이를 유치원 종일반이나 어린이집 실습을 통해 현장에 적용해 본다.

  • 사회적배제와사회정책(Social Exclusion and Social Policy)
    사회적 배제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국내외 취약계층지원 정책, 정책개발과정 및 사회서비스 기획에 대해 학습한다. 현장에 적용가능하도록 현재 사회정책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수정 및 보완하여 모의정책을 개발하고 기획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리뷰 네비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