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네비게이션

학문적 지식, 임상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국민보건 향상

본문내용

한의학과 교과목소개

  • 경혈학및실습 1·2·3 (Meridianology and Laboratory 1·2·3)
    침구치료의 기초학문으로 경락의 유주순환과 경락의 생리적·병리적·진단적·치료적 기능을 이해하도록 한다. 경락의 치료기능과 경혈의 주치, 혈위, 혈성을 학습하여 침구치료의 기본이론을 습득하고 취혈법*을 실습한다.

  • 예방의학및실습 1·2 (Preventive Medicine 1·2)
    전염병 및 만성질환에 대한 역학, 환경산업보건, 의료 관리학의 분야에서 질병의 발생과 분포를 파악하고, 환경과 건강의 관계를 살피며, 유한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의료관리를 학습한다.

  • 약리학 1·2 (Pharmacology 1·2)
    자율신경계, 심혈관계, 중추신경계, 혈액질환, 내분비 등에 작용하는 약물의 종류와 기전을 익히고 약물중독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 본초방제학및실습 3·4·5 (Herbology and Prescriptionology 3·4·5)
    개별 약물의 효능별 분류를 통하여 전래의 약제 내용을 습득하게 하고, 기원, 기미, 귀경, 약재감별 등의 사항을 강론하여 약재의 대강을 파악하여 임상에서의 정확한 약물사용을 도모하도록 하고, 개별약재가 처방을 형성하는 과정 중 구성 원칙 및 가감법, 한의학적 이론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방제의 구성배경을 이해시킨다.

  • 병리학 3·4 (Pathology 3·4)
    인체에 발병하는 질병에 대하여 병인, 발병기전 및 육안적·현미경적 변화, 임상적 특징에 대하여 학습함으로써 질병의 특성을 익히고, 질병의 원인과 발생기전 전변과정 등을 한의학적 이론인 음양오행이나 운기 등의 이론에 입각하여 질병에 대한 본질을 규명함으로써 질병의 본태를 파악하도록 연구한다.

  • 상한온병학 1·2 (Infectious diseases 1·2)
    감염성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관리 기술을 학습을 통해 습득한다.

  • 면역학 1·2 (Immunology 1·2)
    면역학적 지식을 토대로 대사성질환, 감염질환 및 종양 등의 면역관계 질환의 병인을 이해하고 각종 질환에 대한 진단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

  • 의생명과학심화 4·5·6 (Advanced Biomedical Science 4·5·6)
    한의 신약 연구개발을 위한 과학적 방법을 강의한다. 특히 정보화 기술 및 분자 생물학적 정보와 연계하여 의과학 기초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 인문의학심화 1·2·3 (Advanced Humanities Medicine 1·2·3)
    의학적 연구에 필요한 편차의 유의성, 분포, 자유도와 분산분석, 상관실험계획 등을 통계적으로 처리분석하는 방법을 강의한다.

  • 진단학및실습 1~5 (Diagnostics and Laboratory 1~5)
    여러 양의학적 지식을 종합하여 의학적 진단을 시행함에 있어, 외래 및 입원환자의 간단한 의학적 진찰 기법을 익히고 임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진단의 폭과 정확도를 높이며 나아가 한의학적 진단과 더불어 객관적 진단을 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함양하고, 四診을 통해 증상을 수집하여 이 수집된 증상들을 한의학적인 원리에 의하여 병증을 찾아가는 방법을 연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습한다.

  • 본초방제학심화 1·2 (Advanced Herbology and Prescriptionology 1·2)
    고래로 전하여지고 있는 한약제형을 분석하며, 고방과 후세방의 입방의의를 탐구하고 이를 임상에 응용시키는 방안을 강론한다.

  • 부인과학및실습 1·2·3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Clinical Practice 1·2·3)
    부인과학의 기본 지식과 임상술기를 습득하여 월경병, 대하병, 임신병, 분만 및 산후병의 일반질환의 진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여성의 고유 생리현상과 이에 관련된 질병에 대하여 원인, 진단, 치법을 한의학적으로 이해하며,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 소아과학및실습 1·2·3 (Pediatrics and Clinical Practice 1·2·3)
    소아의 건강관리와 병적원인을 찾아내고, 그 증상의 치료법을 한의학적으로 해석하여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 침구의학및실습 1·2·3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Clinical Practice 1·2·3)
    침구학에 대한 역사와 의의 및 각종 침구치료에 사용되는 가가의 사용법을 익히고, 각종침법, 수기방법 및 선혈, 배혈 방법을 학습한다. 침구과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모든 질환과 증상에 대한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방법들을 익히고 습득하여, 한의학적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훈련한다.

  • 신경정신과학및실습 1·2·3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Practice 1·2·3)
    정신질환 및 심인성 질환 등에 대하여 한의학적인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법을 연구하며,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 임상실습입문 (Introduction of Clinical Practice)
    임상실습 강화를 위한 교과목으로 임상의학에 대한 기본자세와 술기를 학습하는 과목이다. 학생들은 본 강의를 통해 환자 면담, 신체 진찰, 임상술기 등에 대한 기본 임상술기 능력을 갖추고 임상실습에 들어감으로써 임상 교육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 임상실습(외부) 1~6 (Clinical Practice(External) 1~6)
    한의학 교육목표인 1차 진료의의 양성을 위해 대표적 1차 진료 현장인 한의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 사상체질의학및실습 1·2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Clinical Practice 1·2)
    인체를 사상체질별로 구분하여 체질진단 및 체질병증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이해하며,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 안이비인후피부외과학및실습 1·2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and Clinical Practice 1·2)
    인체의 외관과 질환과 안이비인후과, 그리고 구강에 발생하는 질환에 대하여 원인, 증상, 치법을 한의학적으로 연구하며,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 재활의학및실습 1·2 (Rehabilitation medicine and Clinical Practice 1·2)
    질병의 악화방지를 위한 치료와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한 한의학적 조처인 도인 안교와 기기를 이용한 물리치료법 및 한방식이요법에 대해 학습하며,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 내과학및실습 1~10 (Internal medicine and Clinical Practice 1~10)
    인체의 내환경을 파악하고 내장기관에 발생하는 질환에 대한 한의학적인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을 연구하며,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간계, 심계, 비계, 폐계, 신계)

  • 영상의학 (Radiology)
    방사선을 이용한 다양한 진단기기들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고 소견을 학습함으로써 적절한 임상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학문이다.

  • 의과임상실습 1·2·3 (Clinical Practice 1·2·3)
    임상각과에서 습득한 기초이론을 토대로 하여 직접 환자를 대면함으로써 진단과 치료의 실제를 습득한다.

  • 임상방제학및실습 1·2 (Clinical Prescriptionology Practice 1·2)
    본 강의에서는 동양의학의 주요 치료 수단 중의 하나인 처방을 학습한다.

  • 부인과학실습 1·2·3 (Obstetrics and Gynecology Practice 1·2·3)
    부인과학에 대해 습득한 기본 지식과 임상술기를 바탕으로 병원 임상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 소아과학실습 1·2·3 (Pediatrics Practice 1·2·3)
    소아과학에 대해 습득한 기본 지식과 임상술기를 바탕으로 병원 임상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 신경정신과학실습 1·2·3 (Neuropsychiatry Practice 1·2·3)
    신경정신과학에 대해 습득한 기본 지식과 임상술기를 바탕으로 병원 임상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 재활의학실습 1·2·3 (Rehabilitation medicine Practice 1·2·3)
    재활의학에 대해 습득한 기본 지식과 임상술기를 바탕으로 병원 임상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 사상체질의학실습 1·2·3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ractice 1·2·3)
    사상체질의학에 대해 습득한 기본 지식과 임상술기를 바탕으로 병원 임상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 내과학실습 1·2·3 (Internal medicine Practice 1·2·3)
    내과학에 대해 습득한 기본 지식과 임상술기를 바탕으로 병원 임상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 안이비인후피부외과학실습 1·2·3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Practice 1·2·3)
    안이비인후피부외과학에 대해 습득한 기본 지식과 임상술기를 바탕으로 병원 임상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 침구의학실습 1·2·3 (Acupuncture and Moxibustion Practice 1·2·3)
    침구의학에 대해 습득한 기본 지식과 임상술기를 바탕으로 병원 임상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 임상실습심화 1·2(추나) (Manipulation)
    추나요법에 응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수기법과 이론들을 연구하고 개별질병에 대한 수기법을 익힌다.

  • 임상실습심화 4 (약침) (Pharmacopuncture)
    약침은 한의약을 현대화한 신의료기술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이다. 약침에 대한 다양한 기초 이론과 임상 적용에 대해 강의한다.

  • 보건의료법규 (Healthcare law)
    병원이나 의원의 의료인 수를 정한다든가 신약이나 향정신성 의약품의 관리사용을 규정하는 법규를 학습한다.

  • 응급의학 (Emergency Medicine)
    응급(내외과적) 상황에 대한 올바른 진단법을 학습하고 응급상황에 대한 시술 및 치료법에 대한 지식을 익히고 실제 임상에 있어 각종 응급시술을 시행할 수 있는 전문적인 의료기술 및 수기를 습득한다.

  • 임상실습심화 3 (레이저) (Laser therapy)
    한의학 임상에서 활용되는 레이저침 및 경맥레이저, 경근레이저, 경피레이저 및 오관레이저를 비롯하여 intensive pulse light, light emitting diode 시술의 치료 원리와 임상 활용을 익힌다.

  • 의료경영학 (Health Care Management)
    효율적인 병원경영을 지원하는 다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학습한다.

  • 통합한의학 (Integrated Korean Medicine)
    한의학의 모든 이론을 통하여 한의학 전체를 아우르면서, 동시에 각 이론의 핵심과 장점, 한계점을 파악하고 공통점을 모아 상호 또는 전체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이론체계를 학습한다.

리뷰 네비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