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네비게이션
메뉴로 다시가기
본문으로 다시가기
연락처및저작권으로 다시가기
상단메뉴
LOGIN
JOIN
SITEMAP
우석대학교 홈페이지
상위링크
한의예과 / 한의학과
한의대소개
학장인사말
학과소개
교육목표
학과연혁
교육과정
한의과대학 내규
졸업후진로
찾아오시는 길
교직원소개
기초한의학 교수
임상한의학 교수
직원/조교
입학안내
입시 Q&A
입학안내
제마나인
커뮤니티
공지사항
갤러리
주요 서비스 메뉴 펼치기
메뉴
LOGIN
JOIN
우석대학교 홈페이지
메인메뉴
한의대소개
학장인사말
학과소개
교육목표
학과연혁
교육과정
한의과대학 내규
졸업후진로
찾아오시는 길
교직원소개
기초한의학 교수
임상한의학 교수
직원/조교
입학안내
입시 Q&A
입학안내
제마나인
커뮤니티
공지사항
갤러리
학문적 지식, 임상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국민보건 향상
문서 위치
HOME
한의대소개
교육과정
한의학과 교과목소개
한의대소개
학장인사말
학과소개
교육목표
학과연혁
교육과정
한의예과 교육과정
한의예과 교과목소개
한의학과 교육과정
한의학과 교과목소개
한의과대학 내규
졸업후진로
찾아오시는 길
바로가기
우석포털
중앙도서관
진로취업지원센터
대학생활
증명서 및 고지서
학생통학버스
본문내용
한의예과 교육과정
▽
한의예과 교과목소개
▽
한의학과 교육과정
▽
한의학과 교과목소개
▼
한의학과 교과목소개
경혈학 및 실습Ⅰ․Ⅱ․Ⅲ (Meridianology & Laboratory Ⅰ․Ⅱ․Ⅲ)
침구치료의 기초학문으로 경락의 유주순환과 경락의 생리적 병리적 진단적 치료적 기능을 이해하도록 한다. 경락의 치료기능과 경혈의 주치, 혈위, 혈성을 학습하여 침구치료의 기본이론을 습득시키고 취혈법을 실습한다.
본초학 및 실습 Ⅱ․Ⅲ (Herbology and Laboratory Ⅱ․Ⅲ)
개별 약물의 효능별 분류를 통하여 전래의 약제내용을 습득하게 하고, 기원, 기미, 귀경, 약재감별 등의 사항을 강론하여 약재의 대강을 파악하여 임상에서의 정확한 약물사용을 도모하도록 하게 한다.
원전Ⅲ․Ⅳ (Classics of Korean medicine Ⅲ․Ⅳ)
한의학의 최고 원전인 황제내경을 교재로 하여 원전의 독해력을 향상시키고 한의학의 기초 원리를 이해하도록 한다.
생리학 및 실습 Ⅱ (Korean Medical Physiology and LaboratoryⅡ)
인체 생명현상 발현과정을 한의학적 이론에 입각하여 강의하고 그 현상발현이 음양오행론의 이론과 성상에 의한 것이며 장상론과 경락학설에 의거한 생리현상의 이해를 돕는다.
양방병리학Ⅰ․Ⅱ (Pathology Ⅰ․Ⅱ)
인체에 발병하는 질병에 대하여 병인, 발병기전 및 육안적ㆍ현미경적 변화, 임상적 특징에 대하여 학습함으로써 질병의 특성을 익힌다.
조직학Ⅰ․Ⅱ (Histology Ⅰ․Ⅱ)
신경, 근육, 결합조직, 상피조직에 대하여 학습한다.
약리학Ⅰ․Ⅱ (Pharmacology Ⅰ․Ⅱ)
자율신경계, 심혈관계, 중추신경계, 혈액질환, 내분비 등에 작용하는 약물의 종류와 기전을 익히고 약물중독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면역학 (Immunology)
항원과 항체의 종류, 구조적 특성 및 다양성, 여러 면역반응 에 있어서의 세포간 상호작용 및 선천면역과 적응면역, 면역질환을 강의한다.
난경 (Nan-gyeong)
고대 한의학이론 중 의심스럽고 이해하기 어려운 이론에 대한 81개의 문답으로 이루어진 ‘팔십일난경’의 학습을 통하여 기초 및 임상 지식을 다양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방의학Ⅰ․Ⅱ (Preventive Medicine Ⅰ․Ⅱ)
전염병 및 만성질환에 대한 역학, 환경산업보건, 의료관리학의 분야에서 질병의 발생과 분포를 파악하고, 환경과 건강의 관계를 살피며, 유한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의료관리를 학습한다.
병리학 및 실습 Ⅰ․Ⅱ (Korean Pathology and LaboratoryⅠ․Ⅱ)
질병의 원인과 발생기전 전변과정 등을 한의학적인 이론인 음양오행이나 운기 등의 이론에 입각하여 질병에 대한 본질을 규명함으로써 질병의 본태를 파악하도록 연구하는 학문
각가학설 (Medical theories of various masters)
금원사대가로부터 이어지는 易水학파와 河間학파를 위주로 학습한다.
방제학 및 실습Ⅰ․Ⅱ (Prescriptionology and Laboratory Ⅰ․Ⅱ)
개별약재가 처방을 형성하는 과정 중 구성 원칙 및 가감법, 한의학적 이론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방제의 구성배경을 이해시킨다. 고래로 전하여지고 있는 한약제형을 분석하며, 고방과 후세방의 입방의의를 탐구하고 이를 임상에 응용시키는 방안을 강론한다.
양방진단학Ⅰ․Ⅱ (Clinical Diagonosis Ⅰ․Ⅱ)
여러 양의학적 지식을 종합하여 양의학적 진단을 시행함에 있어 외래 및 입원환자의 간단한 양의학적 진찰 기법을 익히고 임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진단의 폭과 정확도를 높이며 나아가 한의학적 진단과 더불어 객관적 진단을 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함양한다.
진단학 및 실습Ⅰ․Ⅱ (Korean Diagnostics and Laboratory Ⅰ․Ⅱ)
四診을 통해 증상을 수집하여 이 수집된 증상들을 한의학적인 원리에 의하여 병증을 찾아가는 방법을 연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습한다.
상한론Ⅰ․Ⅱ (Sanghanrhon Ⅰ․Ⅱ)
외감 상한의 병적 상태를 육경으로 분류하여 그 원인, 증상 및 치법을 연구하며, 병성과 병위에 따른 팔강변증과의 비교를 통해 변증시치의 기본을 습득한다.
온병학Ⅰ․Ⅱ (Epidemic Febrile DiseaseⅠ․Ⅱ)
온열병사로 발생된 외감급성 열병의 총칭으로 병인, 병리, 진단과 치료에 대한 것을 연구하는 학문
임상병리학 (Clinical Pathology)
환자로부터 분리한 체액이나 혈액ㆍ조직 등을 물리ㆍ화학ㆍ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임상병리 검사결과에 근거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에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그에 필요한 이론과 실기를 학습한다.
특성화 실습 (Advanced Research Program)
병원과 한의과 대학의 환경에서 벗어나 의료와 관련된 외부 환경을 접하고 경험하여 한의사와 관련된 다양한 진로를 모색하며 견문을 넓힌다.
금궤요략 (Geumgweyoryak)
금궤요략의 학습을 통해 질병 치료의 대략을 파악하고 고방의 운용원칙을 습득한다.
동의보감 (Donguibogam)
종합임상서인 동의보감의 학습을 통하여 임상한의학의 기초를 다진다.
경외기혈학 (Extra-acupointology)
경외기혈학은 전통적인 경락경혈학 이외의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특정 치료점들을 시대에 따라 이론적으로 정립한 학문 영역으로 침구치료의 임상적 지평을 넓히고 한방임상의 신기술 개발에 기초가 되는 학문이다.
의학통계 (Medical Statistics)
의학적 연구에 필요한 편차의 유의성, 분포, 자유도와 분산분석, 상관실험계획 등을 통계적으로 처리분석하는 방법을 강의한다.
사상체질의학Ⅰ․Ⅱ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Ⅰ․Ⅱ)
인체를 사상체질별로 구분하여 체질진단 및 체질변증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이해하며,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침구의학Ⅰ․Ⅱ․Ⅲ (Acupuncture & Moxibustion Ⅰ․Ⅱ․Ⅲ)
침구학에 대한 역사와 의의 및 각종 침구치료에 사용되는 가가의 사용법을 익히며, 각종침법, 수기방법 및 선혈, 배혈 방법을 익힌다. 또한 침구과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모든 질환과 증상에 대한 원인, 증상, 진단, 치료방법들에 대하여 익힌다.
부인과학Ⅰ․Ⅱ․Ⅲ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Ⅰ․Ⅱ․Ⅲ)
부인과학의 기본 지식과 임상술기를 습득하여 월경병, 대하병, 임신병, 분만 및 산후병과 일반질환의 진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소아과학Ⅰ․Ⅱ․Ⅲ (Korean Pediatrics Ⅰ․Ⅱ․Ⅲ)
소아의 건강관리와 병적원인을 찾아내고 그 증상의 치료법을 한의학적으로 해석하고 연구한다.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Ⅰ․Ⅱ (Korean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Ⅰ․Ⅱ)
인체의 외관과 질환과 안이비인후과, 그리고 구강에 발생하는 질환에 대하여 원인, 증상 치법을 한의학적으로 연구한다.
신경정신과학Ⅰ․Ⅱ․Ⅲ (Korean Neuropsychiatry Ⅰ․Ⅱ․Ⅲ)
정신질환 및 심인성질환등에 대하여 한의학적인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법을 연구한다.
간계내과학 Ⅰ․Ⅱ (Hepatic Intemal Medicine Ⅰ․Ⅱ)
간 및 담낭질환과 이에 수반하는 질환에 대해 한의학적인 원인, 증상, 진단, 변증시치 치료에 관한 연구를 한다.
심계내과학 Ⅰ․Ⅱ (Intemal Medicine of Circulatory Organ Ⅰ․Ⅱ)
심장, 소장, 심혈관계, 뇌신경게, 중풍 질환에 대한 한의학적인 원인, 증상, 진단, 변증시치 치료에 관한 연구를 한다.
비계내과학Ⅰ․Ⅱ (Intemal Medicine of Gastro Intestinal Orgna Ⅰ․Ⅱ)
비위, 소화기계와 내분비 및 대사기능의 질환을 대상으로 하여 한의학적인 원인, 증상, 진단, 변증시치 치료에 관한 연구를 한다.
폐계내과학Ⅰ․Ⅱ (Intemal Medicine of Respiratory Ⅰ․Ⅱ)
폐, 대장과 관련된 질환에 대하여한의학적인 원인, 증상, 진단, 변증시치 치료에 관한 연구를 한다.
신계내과학Ⅰ․Ⅱ (Intemal Medicine of Urinary Organ Ⅰ․Ⅱ)
비뇨생식기, 내분비 및 대사기능의 질환을 대상으로 하여 한의학적인 원인, 증상, 진단,변증시치 치료에 관한 연구를 한다.
한방재활의학Ⅰ․Ⅱ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Ⅰ․Ⅱ)
질병의 악화방지를 위한 치료와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한 한의학적 조처인 도인 안교와 기기를 이용한 물리치료법 및 한방식이요법에 대해 학습한다.
한방레이저치료학 및 실습 (Photomedicine and Laser therapy in Korean medicine)
한의학 임상에서 활용되는 레이저침 및 경맥레이저, 경근레이저, 경피레이저 및 오관레이저를 비롯하여 intensive pulse light, light emitting diode 시술의 치료 원리와 임상 활용을 익힌다.
추나학 및 실습Ⅰ․Ⅱ (Manipulation & Clinical Practice Ⅰ․Ⅱ)
추나요법에 응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수기법과 이론들을 연구하고 개별질병에 대한 수기법을 익힌다.
임상특강Ⅰ․Ⅱ(Clinical Lecture Ⅰ․Ⅱ)
임상각과를 기초로 하여 직접 환자를 대할 때에 나타나는 복잡성과 치료의 오묘함을 다룬다.
영상의학 (Radiology)
방사선을 이용한 다양한 진단기기들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고 소견을 학습함으로써 적절한 임상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학문이다
선택임상실습 (Selective Clerkship)
각과 임상 실습 외 학업성취가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거나 더욱 심화시킬 목적으로 학생들이 자유롭게 임상실습을 선택하여 한의사로서의 임상 능력을 강화한다.
임상해부학 (Clinical Anatomy)
환자의 처지과정이나 진단 등의 임상에 기초를 둔 인체의 구조-특히 경혈과 근육을 위주로-에 대하여 학습한다.
임상본초학 (Clinical Herbal Pharmacology)
임상적으로 활용도가 높은 약물들의 응용과 가감을 학습하여 임상능력을 강화한다.
내과학 및 실습 (Korean Internal Medicine & Clinical Practice)
제반 내장질환에 대한 한의학적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을 연구하며,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침구의학 및 실습 (Acupuncture and Moxibustion & Clinical Practice)
침구과 임상분야의 각종 질환과 증상에 대한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을 익히며 예방과 환자관리에 대한 지식을 병원임상실습을 통하여 습득한다.
부인과학 및 실습 (Korean Gynecology and Obsretrics & Clinical Practice)
여성의 고유 생리현상과 이에 관련된 질병에 대하여 원인, 진단, 치법을 한의학적으로 이해하며,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소아과학 및 실습 (Korean Neuropsychiatry & Clinical Practice)
소아의 건강관리와 병적원인을 찾아내고 그 증상의 치료법을 한의학적으로 해석하고 구하며,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 및 실습 (Korean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 Clinical Practice)
인체의 외과 질환과 안이비인후과에 발생하는 질환에 대하여 원인, 증상, 치법을 한의학적으로 연구하며,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신경정신과학 및 실습 (Korean Neuropsychiatry & Clinical Practice)
정신질환 및 심인성질환등에 대하여 한의학적인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법을 연구하며,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한방재활의학 및 실습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 Clinical Practice)
질병의 악화방지를 위한 치료와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한 한의학적 조처인 도인 안교와 기기를 이용한 물리치료법 및 한방식이요법에 대해 학습하며,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사상체질의학 및 실습 (Sa 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Clinical Practice)
인체를 사상체질별로 구분하여 체질진단 및 체질병증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보건의료법규 (Health laws)
병원이나 의원의 의료인수를 정한다든가 신약이나 향정신성 의약품의 관리사용을 규정한 법규
양방임상실습Ⅰ․Ⅱ (Clinical PracticeⅠ․Ⅱ)
임상각과에서 습득한 기초이론을 토대로 하여 직접 환자를 대면함으로써 진단과 치료의 실제를 습득한다.
임상영양학 (Clinical Nutrition)
질병의 발생과 경과에 영향을 주는 영양불균형 및 대사적 불균형에 대한 이해와, 영양 상태의 불균형 상태에 대한 평가,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영양학적 방법을 학습한다.
응급의학 (Emergency Medicine)
응급(내외과적)
임상기기진단학 (Clinical Radiology)
임상 진료현장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는 다양한 진단 기기의 원리를 이해하고 소견을 학습함으로써 적절한 임상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학문
의료관리 (Medicinal Management)
병원의 적절한 관리와 의료보험의 세부사항을 파악하여 양질의 진료를 가능하게 해주는 학문
내과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Korean Internal Medicine)
제반 내장질환에 대한 한의학적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에 대하여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익힌다.
침구의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침구과 임상분야의 각종 질환과 증상에 대한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에 대한 한의학적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훈련한다.
부인과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Korean Gynecology and Obstetrics)
여성 관련된 질병의 원인, 진단, 치료법에 대한 한의학적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훈련한다.
소아과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Korean Neuropsychiatry)
소아질병 증상의 치료법에 대한 한의학적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훈련한다.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Korean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인체의 외과 질환과 안이비인후과에 발생하는 질환의 원인, 진단, 치료법에 대한 한의학적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훈련한다.
신경정신과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Korean Neuropsychiatry)
신경정신과 질환에 대한 한의학적 이론을 토대로 정신요법 등을 습득하고 실제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훈련한다.
한방재활의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질병의 재활에 관한 한의학적 연구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훈련한다.
사상체질의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인체를 사상체질별로 구분하여 체질진단 및 체질병증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병원 임상에서 응용하고 훈련한다.
노인병학 (Geriatric Medicine)
정상적인 노화의 과정에서 노년층에 나타나는 질병과 건강의 모든 측면을 이해하고 실제 임상현장
리뷰 네비게이션
메뉴로 다시가기
본문으로 다시가기
연락처및저작권으로 다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