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한문 1ㆍ2 (Chinese Literature of Korean Medicine 1ㆍ2)
고전의서에 대한 강독을 통해 한의학 학습에 필수적인 한문의 독해능력을 갖춘다.
생화학 1ㆍ2 (Biochemistry and Practice 1ㆍ2)
생체 내 물질대사와 그 조절, 효소반응, 세포내 organelle들의 생화학적 구성 및 역할, 세포 내 물질수송, 외부의 자극에 의한 세포의 반응 및 세포 내 신호 전달 체계 등에 대해 강의한다.
의학사 1ㆍ2 (Korean Medical History 1ㆍ2)
황제내경, 상한론 등의 의서가 출현하면서 그 학술적 체계가 정립된 한의학이 이후 여러 시대적 변화를 거치면서 어떤 모습으로 발전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생명과학 1ㆍ2 (Scientific Research 1ㆍ2)
생명과학은 복잡성과 넓은 범위에도 불구하고, 모든 연구와 조사를 관장하고 단일의 일관된 영역으로 통합하는 일반적이고 통일된 개념들을 통해 생명 현상과 생물체에 대해 연구하는 자연과학이다. 응용 지식의 생물공학, 생의과학, 유전체학, 대사체학, 후성유전학 등을 통해 사람에 대한 연구는 발전하며 계속되고 있다. 한의학의 효과적인 임상적 기술과 결과들을 생명과학의 연구방법을 통한 근거중심 이론체계화시키는 일련의 노력들이 어떤 주제와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한의학과 생명과학의 지식체계 차이와 공유가능 형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분자생물학 1ㆍ2 (Molecular Biology 1ㆍ2
)여러 생명현상 중 중심이론(central dogma)의 핵심인 유전자의 발현, 복제 등 유전자의 기능과 조절에 관련된 기작에 대해 이해하고 이에 참여하는 분자들의 상호작용을 살펴본다.
생리학및실습 1ㆍ2 (Physiology and Laboratory 1ㆍ2)
인체 생명현상 발현과정을 한의학적 이론에 입각하여 강의하고 그 현상발현이 음양오행론의 이론과 성상에 의한 것이며 장상론과 경락학설에 의거한 생리현상의 이해를 돕는다.
해부학및실습 1ㆍ2 (Anatomy and Laboratory 1ㆍ2)
의학의 기본 지식이 되는 인체의 육안적 구조와 그 계통적, 기능적 관계 등에 대하여 광범위하고도 정미한 지식을 강의를 통하여 습득한 후 실제로 사체를 해부하여 인체의 각 기관 및 구조를 관찰함으로써 산지식을 주지시키는데 있다.
조직학 1ㆍ2 (Histology 1ㆍ2)
신경, 근육, 결합조직, 상피조직에 대하여 학습한다.
원전 1ㆍ2 (Classics of Korean medicine 1ㆍ2)
황제내경 소문과 영추를 강독하면서 한의학 원전 해석능력과 한의학 기초이론을 습득한다.
병리학 1ㆍ2 (Pathology 1ㆍ2)
인체에 발병하는 질병에 대하여 병인, 발병기전 및 육안적ㆍ현미경적 변화, 임상적 특징에 대하여 학습함으로써 질병의 특성을 익히고, 질병의 원인과 발생기전 전변과정 등을 한의학적인 이론인 음양오행이나 운기 등의 이론에 입각하여 질병에 대한 본질을 규명함으로써 질병의 본태를 파악하도록 연구한다.
본초방제학및실습 1ㆍ2 (Herbalogy and Prescription 1ㆍ2)
개별 약물의 효능별 분류를 통하여 전래의 약제내용을 습득하게 하고, 기원, 기미, 귀경, 약재감별 등의 사항을 강론하여 약재의 대강을 파악하여 임상에서의 정확한 약물사용을 도모하도록 하게 한다.
경혈및해부기초 1ㆍ2 (Advanced Anatomy, Meridian and Acupoint 1ㆍ2)
한문으로 쓰여진 한의학 서적을 학습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초적인 한문 지식과 한의학용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전공교과목 학습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또한 의학의 기본이 되는 의학용어를 어근, 연결형, 접두사, 접미사 등으로 나누어 단어를 만드는 방법을 익히고, 인체의 해부, 생리 및 병리 등과 관련된 용어의 내용을 익혀 의학 관련 원서를 이해하는데 있다.
한의기초심화 1~6 (Advanced Korean Medicine 1~6)
동양의 고전인 사서를 강독 하여 인간의 심성을 바르게 하고, 선행을 중시하는 동양사상을 이해하며, 실생활에서 활용하고 의사로서의 소양을 기른다. 또한 종합임상서인 동의보감의 학습을 통하여 임상한의학의 기초를 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