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네비게이션

연기와 무용, 보컬 그리고 무대 메커니즘 등
공연예술의 모든것

본문내용

교과목소개

  • 연극의이해(Comprehension of the theater)
    ‘연극의 이해’는 대학 전공과목으로 연극에 입문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극이란 어떠한 학문이며, 어떠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가에 대하여 공부하는 연극 이론의 개론 수업으로, 연극의 발생과 기원, 관객과 무대의 관계, 연극을 만드는 배우, 스텝, 극작가, 연극의 장르, 희곡, 연극의 감상과 비평 등을 공부한다.

  • 기초무용(Basic Dance)
    움직임의 기초훈련으로 신체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고 공연예술에서 요구되는 기본자세와 기초체력을 훈련하도록 한다.

  • 호흡과발성(Voice and Speech )
    연기와 노래에 필요한 호흡과 발성의 기본 원리를 배우고 호흡과 발성에 영향을 미치는 몸의 근육과 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중급연기(Intermediate Acting)
    장면 연구를 통해 인물창조를 위한 연기이론과 실제의 과정을 습득한다.

  • 뮤지컬의이해(Introduction to Musical)
    뮤지컬의 역사와 특성을 연대기적으로 또 인물별로 살펴봄으로서 뮤지컬산업에 대한 이해와 기본 지식을 쌓는다.

  • 뮤지컬보컬1(Vocal Musical1)
    레슨을 통해 발성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발성에 필요한 호흡법을 익히고 스케일 발성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창의적움직임(Creative Movement)
    창의적 움직임은 다양한 영역에서의 창의력을 개발하고 종합적 예술기능을 보다 발전시키고 구체화시킬 수 있다.

  • 마임과즉흥표현(Mime & Improvisation)
    무용과 연극의 중간적 위치인 마임의 기초 이론과 응용을 학습하여 무용극 및 Improv의 예술적 완성도를 높여주며 독립예술로의 방향을 모색해 본다.

  • 고급연기(Advanced Acting)
    배역창조를 비롯한 인물구축의 기술체계를 연구하며 시대별로 다양한 연기의 형태와 연기양식을 실습한다.

  • 대본분석(Analysis of the theatrical text)
    동, 서양의 대표적 희곡을 선별, 읽음으로써 연극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희곡과 상연의 관계에 대해 연구한다.

  • 뮤지컬보컬3(Vocal Musical3)
    레슨을 통해 발성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발성에 필요한 호흡법을 익히고 스케일 발성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작품제작워크샵(Producing-preformance workshop)
    공연예술제작과정을 익힘으로써 학생들의 창작능력신장과 개개인의 개성에 따라 자신의 작품성향을 탐색하고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준다.

  • 무용감상 및 비평(Appreciation & Review Dance)
    공연예술의 미학, 예술학적 요소와 비평 전반에 대해 학습하며 국내외 작품의 감상과 평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공연물의 양부 판별력과 효과적인 공연 감상법 및 비평 교수방법을 모색한다.

  • 무대디자인(Stage Design)
    공연예술을 위한 무대장치의 기능과 특성을 연구하고 무대디자인에 필요한 실제 기술을 습득한다.

  • 현대연극의이해(Comprehension of the Modern Theater)
    20세기 현대 연극의 다양한 흐름과 경향을 공부하며 연극적 실험의 측면을 연구한다.

  • 스토리텔링워크샵(Storytelling workshop)
    스토리텔링은 무대에서 자신이 표현하고자하는 바를 몸의 언어를 통해 이야기할 수 있으며, 관객에게 재미와 생동감을 줌으로써 설득력 있게 표현하는 전달방법을 익힌다.

  • 퍼포밍기획제작 및 시연(Planning, Producing & Demonstrating for Performing Art)
    공연예술교육의 이상적이고 가장 효과적인 학습 결과물 중 하나는 무대 시연으로 학습자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도모한다. 따라서 그 과정인 기획과 제작 그리고 시연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이론과 실행능력을 배양하여 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역량을 갖춘다.

  • 기초연기연극교육론(Fundamentals of Performance)
    연극적 자기표현의 다양한 면들을 탐구하기 위한 즉흥연기와 연극놀이를 통하여 배우 자신의 창조적인 움직임과 소리들을 발견토록 한다.

  • 무용교과교육론(Theory in teaching Dance )
    무용교육을 위한 무용의 기본 개념과 기초 이론을 이해하고 무용교육의 원리와 지도 방법 등을 탐구하고 국내외 무용교육의 현황을 파악 및 분석하여 무용교육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시창과청음(Vocal Training)
    기본적인 음정 박자 악상기호를 이해하고 악보에 표기되어 있는 대로 정확히 표현하는 방법을 학습하며, 간단한 피아노 선율을 듣고 악보를 기보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 무대기술(Methods and Materials of Stagecraft)
    극장의 제반 기계 설비들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무대예술과 관련된 시각디자인의 기본원리를 습득한다.

  • 연극사(History of Theatre)
    연극의 발생을 이해하고 시대별로 구분하여 사조의 탄생 배경을 이해하여 공연창작자로서 기본 소양을 고취하는 것이 목적이다.

  • 뮤지컬보컬2(Vocal Musical2)
    레슨을 통해 발성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발성에 필요한 호흡법을 익히고 스케일 발성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리듬과움직임1(Rhythm and movement1)
    공연예술은 무대에서 관객들에게 소리와 몸짓을 통해 감정과 스토리를 전달한다. 자신의 캐릭터를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방법인 소리에 대한 느낌, 감정표현 등의 공연예술에 대한 기본기를 배워본다.

  • 문화예술교육개론(Introduction to Culture and Art Education)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대한 거시적인 이해를 토대로 문화예술교육사의 기본적인소양을 기르기 위한 과목이다.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정책적, 사회적, 교육적 배경을 통하여 교육에서 예술의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예술전문성을 확장하여 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정체성과 책무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 이를 통해 자신의 문화예술교육 철학을 형성하고 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전문성과 진로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갈 수 있는 기초역량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사의 사회적 역할을 이해하고 직무소양을 함양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 연극연출(Play Directing)
    연극예술의 총체적 지휘자로서 연극연출의 역할을 이해하고 연출 기초문법의 기술을 습득한다.

  • 전통연희의이해(Comprehension of the traditional theater)
    역사과정을 통해 형성된 전통연희의 유형들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연희의 형성과정에 대해 학습하고 근현대 연극사를 통해 한국 연극의 발전에 대해 공부한다.

  • 뮤지컬보컬4(Vocal Musical4)
    레슨을 통해 발성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발성에 필요한 호흡법을 익히고 스케일 발성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리듬과움직임2(Rhythm and movement2)
    리듬과움직임1의 심화과정으로 신체표현능력의 다양성과 유연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훈련을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 총체극극작연구(Research writing of Total Theatre)
    총체적인 형태의 퍼포밍아트에 필요한 표현양식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다. 실제적이고 전문적인 제작과정을 병행하여 공연현장에 활용하도록 한다.

  • 공연제작실습(Play Production)
    공연 기획의 단계에서부터 희곡선정, 오디션, 연습진행, 공연 및 비평에 이르는 공연제작 전 과정을 실제로 제작 실습한다.

  • 공연감상과비평(Styles in Theatrical Production)
    다양한 장르의 연극을 감상하며 공연에 대한 분석, 비평적 안목을 기른다.

  • 오디션테크닉(Audition technic)
    오디션은 춤, 연기, 노래를 통해 작품에 적합한 인재를 찾는다. 언제나 오디션에 응시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유연함과 자신의 개성을 발전시켜 오디션에 응하는 법을 습득한다.

  •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culture&art education field)
    문화예술교육사 교과목에서 습득한 교육이론과 원리를 교육현장에서 실제 적용해 보고 그 타당성을 검증, 개선, 내면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육현장에 배치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성을 기르기 위한 체험 및 실습과정이다. 문화예술교육사 직무의 역할(기획,분석,교수,평가)

리뷰 네비게이션